Outer Join 이란?


- Equi Join은 조인을 생성하려는 두 개의 테이블의 한쪽 컬럼에서 값이 없다면 테이터를 반환하지 못한다.

- 동일 조건에서 조인 조건을 만족하는 값이 없는 행들을 조회하기 위해 Outer Join을 사용 한다.

- Outer Join 연산자는 "(+)" 이다.

- 조인시 값이 없는 조인측에 "(+)"를 위치 시킨다.

- Outer Join 연산자는 표현식의 한 편에만 올 수 있다.



LEFT OUTER JOIN


LEFT OUTERL JOIN은 오른쪽 테이블(아래 예제에서 emp테이블)에 조인시킬 컬럼의 값이 없는 경우 사용한다.


SELECT DISTINCT(e.deptno), d.deptno

FROM dept d 

LEFT OUTER JOIN emp e

ON d.deptno = e.deptno; 



RIGHT OUTER JOIN


RIGHT OUTERL JOIN은 왼쪽 테이블(아래 예제에서 emp테이블)에 조인시킬 컬럼의 값이 없는 경우 사용한다.


SELECT DISTINCT(e.deptno), d.deptno

FROM emp e 

RIGHT OUTER JOIN dept d

ON e.deptno = d.deptno;



FULL OUTER JOIN


FULL OUTERL JOIN은 양쪽 테이블 모두 Outer Join걸어야 하는 경우 사용 한다.


SELECT DISTINCT(e.deptno), d.deptno

FROM emp e 

FULL OUTER JOIN dept d

ON e.deptno = d.deptno;



출처  :  http://www.gurubee.net/lecture/1021

메소드

addClass( class )    : 매치된 요소들의 각 집합에 지정된 CSS 클래스를 추가한다.

hasClass( class )    : 지정된 클래스가 매치된 요소 집합 중 최소 한 군데 이상 적용되어 있다면 true를 반환한다.

removeClass( class ) : 매치된 요소들의 각 집합에서 지정된 CSS 클래스 혹은 모든 클래스를 제거한다.

toggleClass( class ) : 지정된 클래스가 적용되지 않았다면 적용하고, 이미 적용되어 있다면 제거한다.

attr( name )         : 메치된 첫 번째 요소의 특정 어트리뷰트에 접근하여 값을 가져온다. 만일, 지정된 어트리뷰트 명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undefined가 반환된다. 어트리뷰트에는 title, alt, src, href, width, style와 같은 것들이 해당된다.

attr( properties )   : 모든 매치되는 요소들의 어트리뷰트를 키/값 개체로 설정한다.

attr( key, value )   : 모든 매치되는 요소들의 단일 어트리뷰트의 값을 지정한다.

attr( key, fn )      : 모든 매치되는 요소들의 단일 어트리뷰트에 대해 계산된 값을 지정한다.

removeAttr( name )   : 매치된 요소 각각으로부터 해당 어트리뷰트를 제거한다


.css("name")

.css("name", "value")

.css({"name":"value", "name":"value", "name":"value"})


<p>TEST CSS</p>

 

<script>

$('p').css({'color':'red', 'font-weight':'bold'})

<script>

간단한 오늘 날짜 구하는 스크립트 입니다.


1.

//현재년월일

var newDate = new Date();

var yyyy = newDate.getFullYear();

var mm = newDate.getMonth()+1;

var dd = newDate.getDate();

if(mm < 10){

mm = "0"+mm;

}

if(dd < 10){

dd = "0"+dd;

}

var today = yyyy + "-" + mm + "-" + dd;


2.

new Date().print("yyyy-mm-dd");


3.

//하루전 구하기

var oldDate = new Date('2017-07-21').add(-1).print("yyyy-mm-dd");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