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jax 는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의 약자인데, 비동기식 자바스크립트와 XML 이라고 보면된다


javascript 의 XMLHttpRequest  를 이용하여 직접 구현하여도 되지만, 

jQuery 를 이용하는 것이 훨씬 더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.



가장 큰 특징은 현재 페이지에서 페이지의 이동/전환없이, 특정 이벤트를 통해 서버와 http 통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며, 이를 통해 현재 페이지의 일부분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는 것이다.



function ajaxAct() {


$.ajax ({

type : "GET",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// GET 또는 POST

url : 'updatetest.htm',          // 서버측에서 가져올 페이지

data : 'a=1&b=2&c=3',       // 서버측에 전달할 parameter

timeout : 5000,                  // 응답대기시간 

dataType : 'html',               // html , javascript, text, xml, jsonp 등이 있다

beforeSend: function() {      // ajax 요청하기전에 실행되는 함수

},

      success : function(data) {     //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을 경우에 실행된다

dataAct(data);              // data 인수에는 return 되어진 data 가 저장되어 있다

},

error : function(request, status, error ) {   // 오류가 발생했을 때 호출된다. 

console.log("code:"+request.status+"\n"+"message:"+request.responseText+"\n"+"error:"+error);

},

complete : function () {   // 정상이든 비정상인든 실행이 완료될 경우 실행될 함수

}

});

}



이때, success , error, complete 대신에 done, fail, always 를 사용해도 된다. 


$.ajax ({


})

.done(function(){ console.log("요청 성공시 호출") })

.fail(function(){ console.log("요청 실패시 호출") })

.always(function(){ console.log("성공 실패 상관없이 호출") })




예를들어, 아래와 같이 코딩한 후 실행을 시킨다면


$.ajax ({

url : "request.php",

success : function(data) { console.log("success")},

error : function(data) { console.log("success")},

complete : function(data) { console.log("success")},

})

.done(function(){ console.log("done") })

.fail(function(){ console.log("fail") })

.always(function(){ console.log("always") })


콘솔에 표시되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.


1. 성공일 경우 : success > complete > done > always

2. 실패일 경우 : error > complete > fail > always





GET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라면 아래와 같이 parameter 전달시에 URL 에 추가해서 전달할 수도 있다. 


url : 'updatetest.htm?name=이름&sex=male',



위의 ajaxAct() 를 실행시키면 updatetest.htm 을 불러오게 될텐데 만약, 아래와 같이 코딩한다면,

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게된다. 왜냐하면 href 로 인해 페이지의 전환이 일어나게되고

페이지의 전환이 생기게되면 ajax 요청은 무시되기 때문이다. 


그러므로 ajax 요청은 페이지 전환없이, javascript 함수등을 이용하여 호출해 주어야 한다. 





본 포스팅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였음



출처: http://doolyit.tistory.com/20 [동해둘리의 IT Study]
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//code.jquery.com/ui/1.11.4/themes/smoothness/jquery-ui.css">
<script src="//code.jquery.com/jquery.min.js"></script>
    
<script>
$(function() {
  $( "#datepicker1" ).datepicker({
    dateFormat: 'yy/mm/dd'
  });
});
</script>
    
생년월일: <input type="text" id="datepicker1">



한국어로 
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//code.jquery.com/ui/1.8.18/themes/base/jquery-ui.css" />
<script src="//ajax.googleapis.com/ajax/libs/jquery/1.7.1/jquery.min.js"></script>
<script src="//code.jquery.com/ui/1.8.18/jquery-ui.min.js"></script>

<script>
$(function() {
  $( "#datepicker1" ).datepicker({
    dateFormat: 'yy-mm-dd',
    prevText: '이전 달',
    nextText: '다음 달',
    monthNames: ['1월','2월','3월','4월','5월','6월','7월','8월','9월','10월','11월','12월'],
    monthNamesShort: ['1월','2월','3월','4월','5월','6월','7월','8월','9월','10월','11월','12월'],
    dayNames: ['일','월','화','수','목','금','토'],
    dayNamesShort: ['일','월','화','수','목','금','토'],
    dayNamesMin: ['일','월','화','수','목','금','토'],
    showMonthAfterYear: true,
    changeMonth: true,
    changeYear: true,
    yearSuffix: '년'
  });
});
</script>
    
생년월일: <input type="text" id="datepicker1">


시작 ~ 끝
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//code.jquery.com/ui/1.12.1/themes/base/jquery-ui.css">
<script src="//ajax.googleapis.com/ajax/libs/jquery/1.7.1/jquery.min.js"></script>
<script src="//code.jquery.com/ui/1.8.18/jquery-ui.min.js"></script>

<script>
    $(function() {
        $("#datepicker1, #datepicker2").datepicker({
            dateFormat: 'yy-mm-dd'
        });
    });

</script>

<p>조회기간:
    <input type="text" id="datepicker1"> ~
    <input type="text" id="datepicker2">
</p>



시작 ~ 끝 (한국어)

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//code.jquery.com/ui/1.8.18/themes/base/jquery-ui.css" />
<script src="//ajax.googleapis.com/ajax/libs/jquery/1.7.1/jquery.min.js"></script>
<script src="//code.jquery.com/ui/1.8.18/jquery-ui.min.js"></script>
<script>
  $.datepicker.setDefaults({
    dateFormat: 'yy-mm-dd',
    prevText: '이전 달',
    nextText: '다음 달',
    monthNames: ['1월', '2월', '3월', '4월', '5월', '6월', '7월', '8월', '9월', '10월', '11월', '12월'],
    monthNamesShort: ['1월', '2월', '3월', '4월', '5월', '6월', '7월', '8월', '9월', '10월', '11월', '12월'],
    dayNames: ['일', '월', '화', '수', '목', '금', '토'],
    dayNamesShort: ['일', '월', '화', '수', '목', '금', '토'],
    dayNamesMin: ['일', '월', '화', '수', '목', '금', '토'],
    showMonthAfterYear: true,
    yearSuffix: '년'
  });

  $(function() {
    $("#datepicker1, #datepicker2").datepicker();
  });

</script>
<p>조회기간:
  <input type="text" id="datepicker1"> ~
  <input type="text" id="datepicker2">
</p>


서브쿼리(Subquery)란 하나의 SQL문안에 포함되어 있는 또 다른 SQL문을 말한다. 서브쿼리는 알려지지 않은 기준을 이용한 검색을 위해 사용한다. 서브쿼리는 메인쿼리가 서브쿼리를 포함하는 종속적인 관계이다.

  • 서브쿼리 사용시 주의사항
    • 서브쿼리를 괄호로 감싸서 사용한다.
    • 서브쿼리는 단일 행(Single Row) 또는 복수 행(Multiple Row) 비교 연산자와 함께 사용 가능하다. 단일 행 비교 연산자는 서브쿼리의 결과가 반드시 1건 이하이어야 하고 복수 행 비교 연산자는 서브쿼리의 결과 건수와 상관 없다.
    • 서브쿼리에서는 ORDER BY를 사용하지 못한다. ORDER BY절은 SELECT절에서 오직 한 개만 올 수 있기 때문에 ORDER BY절은 메인쿼리의 마지막 문장에 위치해야 한다.
  • 서브쿼리가 가능한 곳은 다음과 같다.
    • SELECT CLAUSE
    • FROM CLAUSE
    • WHERE CLAUSE
    • HAVING CLAUSE
    • ORDER BY CLAUSE
    • INSERT VALUES CLAUSE
    • UPDATE SET CLAUSE


① 단일행 서브쿼리(Single Row Subquery)
SELECT * 
FROM Player
WHERE Team_ID = (
	SELECT Team_ID 
	FROM Player
	WHERE Player_name = "yonglae"
	)
ORDER BY Team_name;

② 다중행 서브쿼리(Multiple Row Subquery)
SELECT * 
FROM Team
WHERE Team_ID IN (
	SELECT Team_ID 
	FROM Player
	WHERE Player_name = "yonglae"
	)
ORDER BY Team_name;

③ 다중컬럼 서브쿼리(Multi Column Subquery)
SELECT * 
FROM Player
WHERE (Team_ID, Height) IN (
	SELECT Team_ID, MIN(Height) 
	FROM Player
	GROUP BY Team_ID
	)
ORDER BY Team_ID, Player_name;



+ Recent posts